봉와직염 증상, 원인, 진단 및 위험 요소에 대해 알아보자.
봉와직염 증상은 발적, 부종, 열감을 나타내는데 그 원인으로는 세균이 피부 장벽을 통과하면서 생긴 결과입니다. 피부 농양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피부 진피, 피하에 농이 모여서 생깁니다. 발적, 부종, 열감을 나타내는 피부질환은 다양하여 다른 질환과 오인할 수 있으므로 진단에 신중해야겠습니다.
아래로 봉와직염을 일으키는 몸의 위험 요소 및 봉와직염 원인 균들을 차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봉와직염 증상, 임상 양상
해마다 10만명 중 200명 정도가 봉와직염에 걸린다고 합니다. 날씨 더운 여름에 주로 호발하기 쉽습니다. 주로 하지에 생기며 일측성으로 생깁니다. 양쪽 다리에 생겼다면 이는 다른 원인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증상으로는 발적, 부종, 열감이 특징입니다. (erythema, edema, warmth)
그 외 특징으로 빨갛게 부어오른 피부에 점상 출혈이 나타나거나 종종 물집이 잡히기도 합니다.
전신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 열이 날 수 있습니다.
피검사를 해보면 감염에 의해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거나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 (CRP)와 같은 염증 수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봉와직염이 잘 생기는 몸의 상태
아래와 같은 조건이라면 봉와직염과 같은 피부 감염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피부가 상처입은 상태 - 찰과상, 욕창, 벌레 물린 상처, 주사 자국
- 피부 염증 상태 - 습진, 건선 등
- 정맥부전(venous insufficiency), 림프관 손상으로 생긴 피부 부종 상태
- 비만
- 면역 억제 상태 - 당뇨, HIV 등
- 발가락 사이의 간찰진(toe web intertrigo)
- 이미 피부 감염에 걸린 상태 - 무좀, 농가진, 대상포진 등
봉와직염 원인
봉와직염은 피부 장벽을 균이 뚫고 들어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베타용혈성연쇄상구균[beta-hemolytic streptococci (groups A, B, C, G, and F)]입니다.
그중 가장 흔한 것은 A 그룹에 속해있는 S. pyogenes 입니다. 포도상구균인 S. aureus 도 흔한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원인균이 이 둘 중 하나이므로 관련된 항생제를 사용해보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 되겠습니다.
드믄 경우로 볼에 생기는 연조직염의 원인균인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과 좀 더 깊은층으로 파고 들어가 염발음이 나는 봉와직염(crepitant cellulitis)은 clostridia와 같은 원인균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봉와직염 진단
봉와직염(cellulitis)은 가장 흔한 피부 감염 질환 중 하나로 별다른 검사 방법 없이 임상증상만으로 대부분 진단이 가능합니다.
위 사진과 같은 양상으로 홍반(erythema), 부종(edema), 열감(warmth)으로 대표되는 증상이 일측으로 있다면 대부분 봉와직염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임상증상만으로 진단이 가능할 만큼 따로 혈액검사와 같은 방법은 대부분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감염의 범위가 엄청 크거나, 전신 증상인 고열이 발생하거나, 항생제가 듣지 않을 때, 노인이거나 아이일 때, 동물에게 물렸거나, 종양, 면역억제 등 몸 상태가 안좋을 때는 혈액 배양을 통해 원인균 동정을 정확하게 하여 치료에 접근해야겠습니다.
감별진단 중 특이한 점
어려 감별진단이 있지만 그 중 여름에 흔히 모기를 비롯한 곤충에 물렸을 때에 염증반응으로 봉와직염과 비슷한 양상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벌레의 독소로 인한 피부 반응으로 생길 수도 있는 증상이지만, 벌레에 물려서 봉와직염 원인균이 감염되어 봉와직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비슷하니 신중하게 진단해야 합니다.
그 외로 근래 백신을 많이 접종받는 시기인데 백신 접종 부위 반응으로 봉와직염과 비슷한 홍반, 부종,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홍반이 면적이 극히 좁다면 별 의심해보지 않아도 되지만 범위가 넓다면 봉와직염의 가능성도 생각해봐야 합니다.
봉와직염 합병증
합병증으로는 심내막염, 감염성 관절염, 골수염, 패혈증, 독성쇼크증후군(toxic shock syndrome, TSS)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봉와직염의 원인와 증상, 진단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봉와직염의 치료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 피드백은 언제든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근골격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와직염(Cellulitis): 증상, 원인, 초기 증상 및 치료 방법 (0) | 2024.07.12 |
---|---|
엄지발가락 통증: 원인, 증상 및 치료법 (0) | 2024.07.07 |
평발 군대, 평발 공익 판정을 위한 검사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0.09.22 |
무릎 안쪽 통증 원인, 내측 측부인대 파열(MCL injury)의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0.09.18 |
무릎 안쪽 통증과 무릎 소리의 원인, 무릎 추벽 증후군 치료, 증상, 진단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