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과

농가진의 원인, 증상, 진단까지 가이드

by 풍성닥터 2024. 7. 18.
반응형

농가진: 정의, 원인, 종류, 증상, 진단

농가진의 정의

농가진(impetigo)은 매우 전염성이 높은 피부 감염으로, 특히 어린이들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주로 얼굴, 목, 팔, 다리 등 노출된 피부 부위에 생기며, 집단 생활을 하는 어린이집이나 학교에서 쉽게 전파됩니다.

농가진의 원인

농가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주로 수포성 농가진을 유발합니다.
  •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주로 비수포성 농가진을 유발합니다.

이 박테리아는 피부의 작은 상처나 찰과상을 통해 침투하며, 기존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쉽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농가진의 종류

농가진은 두 가지 주요 형태로 나뉩니다:

  • 비수포성 농가진(non-bullous impetigo): 전체 농가진의 약 70%를 차지하며, 작은 구진이나 반점이 물집으로 발전한 후 황색 딱지가 형성됩니다.
  • 수포성 농가진(bullous impetigo): 큰 수포가 형성되고, 수포가 터지면 얇은 껍질이 남으며 염증이 동반됩니다.

농가진의 증상

비수포성 농가진

  • 초기 증상: 작은 구진이나 반점이 생기며, 빠르게 물집으로 발전합니다.
  • 진행: 물집이 터지면 황색 또는 황갈색의 딱지가 형성됩니다.
  • 주요 부위: 주로 얼굴, 특히 코와 입 주변에 발생합니다.
  • 기타 증상: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수포성 농가진

  • 초기 증상: 투명하거나 노란색 액체가 든 큰 수포가 형성됩니다.
  • 진행: 수포가 터지면 얇은 껍질이 남고, 감염 부위에 염증이 생깁니다.
  • 주요 부위: 주로 몸통이나 팔다리에 발생합니다.
  • 기타 증상: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농가진의 진단

농가진의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과 병력에 기반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합니다:

  • 육안 검사: 경험이 있는 의사는 피부 병변을 관찰하여 농가진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세균 배양 검사: 감염 부위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원인균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특히 재발성 감염이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특히 MRSA 감염)에 유용합니다. 
  • 감별 진단: 수두, 접촉성 피부염, 단순포진 등과 같은 다른 피부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결론

농가진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 쉽게 치유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감염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재발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농가진의 전염성, 치료, 예방, 격리지침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반응형